abusesaffiliationarrow-downarrow-leftarrow-rightarrow-upattack-typeburgerchevron-downchevron-leftchevron-rightchevron-upClock iconclosedeletedevelopment-povertydiscriminationdollardownloademailenvironmentexternal-linkfacebookfiltergenderglobegroupshealthC4067174-3DD9-4B9E-AD64-284FDAAE6338@1xinformation-outlineinformationinstagraminvestment-trade-globalisationissueslabourlanguagesShapeCombined Shapeline, chart, up, arrow, graphLinkedInlocationmap-pinminusnewsorganisationotheroverviewpluspreviewArtboard 185profilerefreshIconnewssearchsecurityPathStock downStock steadyStock uptagticktooltiptwitteruniversalityweb

이 내용은 다음 언어로도 제공됩니다: English

이야기

2024년 10월 31일

사우디아라비아: 이주노동자 과로, 저임금, 열악한 생활 등 까르푸 지점에 감도는 ‘공포의 분위기’, 국제앰네스티 조사 결과; 기업 응답 포함

2024년 10월, 국제앰네스티가 “출근에 대한 공포: 사우디아라비아 까르푸 지점의 노동 착취 실태”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새로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인력 공급업체에 고용되어 사우디아라비아의 까르푸 매장에서 일하는 이주노동자들이 강제노동을 비롯해 심한 노동권 착취와 열악한 노동 환경을 겪고 있는 현실을 조명했다. 국제앰네스티는 또한 까르푸가 “이러한 피해를 방지하는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라고 밝혔다.

“나는 부자가 아니라… 이곳에 돈을 벌러 왔다. 만일 회사가 나를 해고하면 나쁜 상황에 내몰리게 된다. 고국으로 보내지면 다른 나라로 일하러 가기 위해 돈을 지불해야 한다. 시간도 오래 걸릴 것이다. 따라서 까르푸 사람들과 갈등을 빚지 않는다.”

자그디시, 네팔 출신 노동자, 2023년 12월 앰네스티와의 인터뷰

이번 보고서는 2023년 앰네스티가 인력 공급업체 알무타이리(Al-Mutairi)에 고용되어 사우디아라비아 내 아마존 물류창고와 계약한 노동자들이 겪는 인권침해를 살피고자 실시한 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알무타이리까르푸가 현지 프랜차이즈인 마지드 푸타임(Majid Al Futtaim)(MAF)을 통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운영하는 지점에도 노동자를 공급하고 있다. 보고서 내용은 인도, 네팔, 파키스탄 등 남아시아 출신 노동자 17명과의 인터뷰를 토대로 했다. 이 노동자들은 MAF와 계약을 맺은 제3자 하청업체에 고용되었다. MAF에 이주노동자 인력을 공급하는 2개 업체로 알무타이리와 바두르 나제드(Badoor Nejed)가 거론되었고, 이외 2개 업체명은 공개되지 않았다.

노동자들이 밝힌 인권침해 사항은 다음을 포함한다.

  • 직접 고용을 허위로 약속한 뒤 평균 1,200달러의 막대한 취업 알선비를 강요했으며, 노동자는 이 비용을 감당하느라 고금리 대출을 받아야 했다.
  • 노동자들은 주중 60시간을 ‘주기적’으로 근무하고 많게는 하루 16시간씩 일하며 과로와 저임금에 시달리고 있다. 초과 근무 시간에 대한 수당은 주어지지 않았다.
  • 방 한 칸을 6명이 나눠 쓰는 등 인력 공급업체가 제공하는 생활환경이 열악하다.
  • 고충 제기 구제 수단 접근의 한계. 노동자들은 불만을 제기하거나 초과 노동을 거부하려면 해고당하거나 새 일자리를 구할 때까지 임금을 받지 못하는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까르푸 지점 내에 조성된 ‘공포의 분위기’로 인해 노동자들이 권리를 적극적으로 요구할 수 없었다. 까르푸와 마지드 알 푸타임의 고충 처리 시스템은 효율적으로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까르푸와 MAF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빈번한 노동 착취의 위험을 고려해 적절한 인권 실사를 시행해야 했으나 그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노동비자 스폰서 프로그램인 카팔라(kafala) 시스템의 악용으로 이주노동자들이 큰 위험에 노출되었다. 국제앰네스티는 까르푸와 MAF, 인력 공급업체들이 보고서에 언급된 인권침해 사실에 대하여 보상금 지급, 취업 알선비와 체불 임금 환급, 기타 조치를 통해 노동자들을 구제할 책임이 있다고 주장한다. 아울러 까르푸는 기존의 실사 정책과 관행을 검토해야 한다.

노동자들은 나은 삶의 기회를 잡았다고 생각했지만 대다수가 끔찍한 착취와 학대 위험에 내몰렸다. 까르푸는 미비한 대응으로 이러한 고통을 방지하는 실패했고, 이로 인해 일부 계약직 노동자들은 인신매매를 비롯한 강제노동 피해를 입기도 했다.

마르타 샤프(Marta Schaaf), 국제앰네스티 기후, 경제, 사회 정의 기업 책임 프로그램 디렉터

까르푸MAF는 보고서 내용에 관하여 내부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또한 까르푸는 프랜차이즈 파트너의 운영 활동에 대해 제3자 감사를 지시했다.

지난 10월, 기업과인권리소스센터는 보고서가 제기한 의혹과 관련해 까르푸, 마지드 푸타임, 바두르 나제드 측에 응답을 요청했고, 착취 피해를 입은 전현직 계약직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구제 조치가 예정되었거나 시행되었는지, 구체적으로 1) 그러한 조치가 언제 실행될 예정인지 2) 어떠한 형태의 구제가 이뤄질 것인지 문의했다. 또한 리소스센터는 까르푸마지드 푸타임 측에 근무 환경에 대한 공동 조사 결과와, 까르푸가 외부 기관에 의뢰한 마지드 푸타임 운영 감사 결과를 공개해줄 것을 요청했다. 까르푸마지드 푸타임의 응답 내용은 하단에서 전문을 읽을 수 있다. 바두르 나제드는 응답하지 않았다.

리소스센터는 의혹에 관하여 알 무타이리 측과도 접촉을 시도했으나 닿지 않았다. 추후 응답이 올 시 내용을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기업 응답

Carrefour 응답 보기
Majid Al Futtaim 응답 보기
Badoor Najed

무응답

타임라인